Blog Story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용인 in blog] 특별한 경력을 브랜드화 - 대서양 횡단, Katie Spotz 개인 브랜드(PB, Personal Brand)화를 위해서 블로그가 많이 이용 됩니다. 자신의 특별한 경력을 브랜드화 하는데 특히 많이 사용됩니다. Katie Spotz 경우도 대서양 횡단 순간을 블로그로 전달하면서 매 순간 이슈를 만들어 내고 브랜드화 했습니다. 현재는 자신이 초대받은 경기나 강연 이야기를 블로그를 통해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거에 우리나라에도 월드컵이나 88올림픽을 알리기 위해서 유럽횡단등 여러가지 이벤트를 했는데, 블로그나 트위터를 통해서 알렸다면 더 많은 어텐션을 확보하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개인 이벤트 블로그 브랜딩 설계 문의 | 사용인 blogbranding@live.co.kr 위키디피아 http://en.wikipedia.org/wiki/Katie_Spotz 트위터 ht.. 더보기 삼성 블로그와 도메인의 가치 삼성이 공식 블로그를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 여기서 삼성의 도메인 확보 과정이 흥미롭습니다. 몇년 전 부터 외국의 한 블로거가 http://www.samsungblog.com/ 라는 삼성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면 2008년 이후로 글이 올라오지 않고, 그렇다고해서 자료가 많거나 내용의 깊이가 있지 않은 걸로 봐서 판매용으로 만들었지 않나 추측해 봅니다. 여기서 삼성측은 이 블로그에 대해서 언급하면서 이 블로그를 구입할 의사가 전혀 없고 접촉을 고려해 보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blog 자체도 명사이기 때문에 s를 붙여서 http://www.samsungblogs.com/ 라는 도메인으로 운영한다고 합니다. 예전에 MBC에서 mbc.com 도메인 구입하려고 할 때, mbc... 더보기 [사용인]블로그 제목 정할때 고려해야 될 키워드 6 - 상위 카테고리와 하위 카테고리의 종속성 의류 쇼핑몰에 가면 온갖 종류의 쇼핑몰이 있지요. 간단하게 남성의류와 여성의류로 분류한다고 했을 때, 오프라인에서는 의류라는 단어가 남성의류와 여성의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상위 카테고리가 하위 카테고리를 선점하는 것이 오프라인의 방식입니다. 그런데 인터넷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옵니다. 키워드로 검색 했을 때, 여성의류와 남성의류가 의류보다 검색량에서 월등히 앞섭니다. 시장의 크기로 이야기 하자면 의류시장보다 여성의류 시장이 훨씬 더 크다고나 할까요. 정장과 의류를 비교하면 의류가 근소하게 우위를 점하기는 하지만 의류가 정장이라는 키워드를 지배하지는 못합니다. 이렇게 인터넷에서 키워드란 것은 상위 카테고리라는 이유 떄문에 우위를 점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의류라는 키워드와 여성의류라는 .. 더보기 [사용인]블로그 제목 정할때 고려해야 될 키워드 5 - 트렌드 키워드 묻어가기(김연아 키워드) 그동안 '블로그 제목을 정할때 고려해야 될 키워드'로 글을 올리면서 딱딱한 이야기를 많이 한거 같은데요. 이번엔 방문객을 늘리는 팁이라고나 할까요? 간단하면서 쉽게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을 한가지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제목을 정할 때 트렌드 키워드에 묻어가는 것입니다. 위의 캡쳐 사진은 다음에서 '김연아'라는 키워드로 검색한 자료의 일부분입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최고 트렌드인 '김연아'라는 키워드를 넣어서 대중에게 김연아와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적은 김자인, 임수정 선수가 노출되고 있습니다. 단순히 김자인, 임수정 선수의 이름만 키워드로 넣었다면 노출되지 않았겠지요. 이렇게 트렌드 키워드를 제목에 넣으면 노출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 최고의 키워드는 '꽃보다 남자'였습니다. 한참 인기 있.. 더보기 [사용인]블로그 제목 정할때 고려해야 될 키워드 4 - 무소유 10억, 무소유 21억(누가 먼저 올리느냐? - 속도) 법정스님의 무소유 브랜드 가치는 10억? - 브랜드 가치를 측정하고픈 인간의 욕망 위의 글은 어제 제가 포스팅한 글 입니다. 브랜드 가치 측정과 무소유라는 것에 대해서 글을 올렸는데요, 이번에는 변화라는 관점에서 보려고 합니다. 제 경우는 무소유의 가격이 9억일 때 처음 이 소식을 접했습니다. 그리고 제가 브랜드에 관련된 글을 포스팅할 때는 10억이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지금은 21억 1000만원으로 끝이 났고 결국에는 옥션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저도 21억 1000만원까지 올라갔다는 내용은 기사로 알게되었고 단지 삭제되었다는 사실만 확인 했습니다. 그리고 지금 옥션에는 21억, 10억등 고가로 경매로 올라온게 있는데, 제가 처음 확인했던 사용자와 다릅니다. 여기까지는 관련된 사실이구요. 제가 이야기 하고 .. 더보기 [사용인]블로그 제목 정할때 고려해야 될 키워드 3 - 낚시성 제목은 금물 위의 사진은 지붕킼에 관련된 기사 모음입니다. 여기서 눈에 뛰는 것은 '황정음과 헤어진 최다니엘, 이번엔 한예슬?' 이라는 기사입니다. 제목만 봐서는 하이킼에 한예슬이 나오나? 등의 내용을 추측하게 됩니다. 하지만 기사의 내용은 최다니엘과 한예슬이 함께 CF 광고에 출연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블로그로 제목을 정할 때 가장 많은 유혹을 받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낚시성 제목입니다. 많은 방문객을 만들고 싶은 마음은 블로거들이라면 누구나 간절하겠지만, 낚시성 제목은 신뢰성을 갂아 먹는 독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낚시성 제목은 절대로 금물입니다. [사용인] 블로그 제목 정할때 고려해야 될 키워드 1 - 키워드의 가치 [사용인] 블로그 제목 정할때 고려해야 될 키워드 2 - 핵심 키워드 [사용인] 블로그 제목 정.. 더보기 [사용인]블로그와 홈페이지의 차이점 1 - 마인드(spirit) 블로그와 홈페이지의 차이점을 이야기 할 때, '홈페이지는 이런 것이고, 블로그는 이런 것이다'라는 식으로 기능적 특징에 대해서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그렇지만 그것보다도 중요한 것은 운영자의 마인드 차이에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홈페이지를 블로그처럼 운영할 수도 있고, 블로그를 홈페이지처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마인드(spirit)라는 관점에서 블로그와 홈페이지의 차이점을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블로그는 단순히 홈페이지의 연장선에서 나온 것이 아닙니다. 홈페이지가 명함이라면 블로그는 그 명함이 현실에서 하고 있는 일들의 이야기 입니다. 쉽게 말해서, "나는 어떤 사람이다" 라고 이야기하는 것이 홈페이지 라면 "나는 지금 이걸 하고 있다' 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블로그 입니다. 이런 마인드 차이에.. 더보기 [사용인]블로그 제목 정할때 고려해야 될 키워드 2 - 핵심 키워드(신세계몰 고객정보 유출) 신세계몰의 고객유출 사건이 인터넷에서 이슈화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관련된 글들이 많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많은 블로거들이 블로깅을 하겠지만, 기자들도 기사들을 올립니다. 비슷비슷한 제목들 속에서 눈에 띄눈 제목이 하나 있었습니다. '온라인 쇼핑 1등 한다더니 '늑장대처' 물의' 라는 제목입니다. 대부분이 고객 유출이라는 한가지 사실을 놓고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 반해서, '온라인 쇼핑 1등' 이라는 관련 정보와 '늑장대처 물의'라는 결과를 결합시켜서 정보를 가공했습니다. 그런 내용을 제목으로 잘 표현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아쉬운 것은 가장 중요한 부분을 놓치고 있는 것입니다. '신세계몰'이라는 키워드입니다. 관련 정보를 찾을 때, 제목 검색으로는 노출되지 않겠지요. '신세계몰' 혹은 '정보유출' 등의 .. 더보기 [사용인]블로그 제목 정할때 고려해야 될 키워드 1 - 키워드의 가치 인터넷 상에서는 키워드의 가치는 너무가 중요합니다. 어떤 키워드냐에 따라서 트래픽의 유입양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트래픽의 유입 대상도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가격 인하(최저가)라는 키워드와 가격 경쟁이라는 비슷해 보이지만 다른 키워드를 비교 해보려고 합니다. 소비자들의 경우 일단 어떤 제품이 싸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특히 ㅇㅇㅇ 제품을 놓고 마트끼리 할인 전쟁을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그것을 확인해 보는 방법으로 인터넷을 사용합니다. 일단, 포털을 통해 ㅇㅇㅇ 가격이라는 단어로 가장 먼저 검색을 시도 합니다. (실제로 신라면이라는 이슈가 발생했을 때 '신라면 가격' 이라는 키워드 보다 '신라면'이라는 키워드로 유입되는 트래픽이 많았습니다.) 이때 ㅇㅇㅇ 가격에 대한 정보들이 많이 쏟아져 .. 더보기 블로그로 글쓰기전 생각해 볼 문제 - 자발적 정보공개의 양면성 자발적 정보공개라는 말이 있습니다. 말그대로 타인의 강요 없이 스스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외부에게 알린다는 뜻입니다. 온라인 초창기때 자발적 정보공개의 문제점이 심각하게 대두된 적이 있습니다. 특히, 싸이월드를 겨냥한 것들이 많았지요. 예를 들면, 협상을 하기전에 상대방을 알고 싶으면 상대방의 싸이월드에 들어가면 알 수 있다는 거지요. 그 사람의 취미부터 가족사까지 자세한 것들을 알 수 있지요. 누구의 강요에 의해서 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올려놓은 자료가 자신도 모르게 협상에서 불리한 위치에 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초장기에는 그런 문제점이 가볍게 생각 되었는지 사생활을 공개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사생활 침해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대다수의 개인 사생활은 비공개로 가기..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