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사용인 in 마케팅] 경기가 어려울수록 매혹적인 상품을 만들어라 경기가 어려울수록 가계 소비가 줄어들어 소비자들은 저렴한 물건을 찾게 됩니다. 그래서 기업들은 앞다투어 값싼 물건을 시장에 내놓습니다. 그렇다면 결국은 값싼 물건을 시장에 내 놓을 수 있는 자본력이 강한 대기업만이 살아 남을 수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그렇지만 생각을 조금만 바꾸면 더 많은 기회들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전에는 당연히 샀던 물건들도 금전적으로 어려우니까 이 제품을 살까 말까 라는 고민을 하면서 다른 제품에 눈을 돌리기 시작합니다. 그렇게 비교한 제품들이 비슷비슷하면 값싼 제품을 선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경기가 어려워서 값싼 물건을 사는 것은 그만큼 가격을 뛰어 넘을 만큼의 매혹적인 상품이 없다는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경기가 좋을 때는 돈이 곧 시간이기 때문에 물건을 구입하.. 더보기
[사용인 in 마케팅] 매출을 올리기 위한 3가지 방법 매출을 올리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3가지 입니다. 1. 고객의 수를 늘린다. 2. 고객이 구매시 지출 규모를 늘린다. 3. 고객의 지출 빈도를 늘인다. 좀더 자세히 이야기 하자면, 고객의 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신규 고객을 위한 홍보 방법을 늘리는 것이구요, 구매시 지출 규모를 늘린다는 것은 제품 가격을 올리거나 더 많이 구매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지출 빈도를 늘리는 것은 충성 고객 관리를 뜻합니다. ps. 마케팅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기본입니다. ^^* From + Blog Branding Expert | 사용인 blogbranding@live.co.kr Where + http://blogbrandinglab.com 더보기
브랜드의 지역화 - 대학로의 기브티켓과 티켓링크 대학로에 있는 티켓 판매소인 기브티켓과 티켓링크을 소개 하려고 합니다. 티켓링크는 '좋은 공연 안내소'라는 문구로 지역화를 했습니다. 티켓링크의 전체 브랜드를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대학로에 있는 이 가게는, 대학로의 좋은 공연을 소개해준다는 이미지를 만들고 있습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저가의 공연 티켓을 판매하는 기브티켓에의 경우는 미판매 티켓 할인 예매 서비스라는 브랜드를 그대로 이용해서 '공연 80~60%로 할인'이라는 문구를 만들었습니다. 가격 경쟁이라는것 만큼 탁월한 마케팅이 없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티켓링크의 경우 '좋은 공연 안내소'라는 광고를 통해 오히려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을 이점을 낮춘것은 사실입니다. (싼것은 좋지 않다는 이미지를 상대적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기브티켓의 경우.. 더보기
신라면의 가격 경쟁(가격 인하) - 노이즈 마케팅 군대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가 초코파이입니다. 지금은 잘 모르겠지만, 제가 군대 다닐때만 해도 초코파이 하나에 종교까지 바꼈습니다. 그런 초코파이에도 레벨이 있었습니다. 오리온 情 초코파이와 나머지 초코파이로요. 역시 오리온 情 초코파이가 가장 비쌌습니다. 이 독점적인 브랜드에게 가격 경쟁 따위란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브랜드는 오리온 情 초코파이가 정해 놓은 가격에서 얼마나 저렴한가가 그들의 정체성이였습니다. 또 군대에서는 많은 브랜드가 있었지만, 밤에 몰래 먹는 라면 중에 오리온 情 초코파이처럼 독점적인 존재가 있었는데, 그것이 농심이고 그중에서도 신라면이였습니다. 그리고 한국의 브랜드 관련된 서적에서 거의 예외 없이 꼽는 브랜드가 신라면 입니다. 시장 점유율도 작년 경우 25% .. 더보기
가격 경쟁은 브랜드 차별화 전략인가?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의 삼겹살 요즘 국내 3대 대형 할인업체인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는 삼겹살 가격 경쟁 중입니다. 비록 얼마전 홈플러스가 여기서 빠지긴 했지만 삼겹살 가격은 계속 내려가고 있습니다. 3개 업체 모두 '가격 파괴'를 브랜드화 했기 때문에 '가격 경쟁'은 곧 정체성의 싸움이자, 자존심 싸움이 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각 업체는 그로 인해서 매출이 상승되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가격 경쟁은 브랜드 차별화 전략인가?'를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잭 트라우트라는 마케팅업계의 거물은 이렇게 이야기 했지요. '차별화할 게 없다면 아주 싸게 파는 방법 밖에 없다.' 그리고 '코퍼니쿠스(Copemicus)'라는 리서치회사가 48개의 제품 및 서비스 분야의 선도 브랜드 한 쌍씩 조사한 결과 40개 항목의 선도 브랜드들이 서로 비.. 더보기